화계사 33일 약사기도 회향법회, 지장재일 선덕스님 법문 > 화계사소식


참선수행과 국제포교의 중심 사찰

삼각산 화계사

참여마당

화계사소식

화계사 33일 약사기도 회향법회, 지장재일 선덕스님 법문


페이지 정보

작성자 화계사 작성일23-07-06 16:58 조회1,179회 댓글0건

본문

 

화계사 대적광전서 33일 약사기도 회향법회

불자들 참회기도 통해 약사여래 부처님의 12대 원력 전해지길 소망

지장재일 화계사 선덕 견향스님 법문도...

 

6f3fbf02ee46f9c9cb4be022987a9c14_1688629374_5733.jpg
▲ 축원 

 

도시 넘어 시원한 산 속 품으로 7월이 왔다. 전날 내린 비로 말간 하늘이 시원함까지 더해져 화계사 경내는 활기를 품었다. 비가 내리기전 일찍 찾아온 더위로 거칠었던 날 숨들이 오랜만에 호흡하며 활기차다.

 

삼각산 화계사(주지 우봉스님)는 지난 63일 약사여래기도를 입재하여 33일간 약사여래 발원문과 약사여래 진언 108독을 다 같이 염송하며 기도 올렸다. 주지 우봉스님의 축원, 총무국장 혜원스님의 집전으로 33일간 기도올린 불자들은 그동안 자신에게 주어진 기도의 무게를 조용히 풀어냈다.

 

202375일 화계사 대적광전에서 약사여래기도 회향법회와 음력 518일 지장재일 법회를 봉행했다. 이날 불자들은 기도를 봉행하며 약사여래부처님의 가피로 병고와 재난으로 고통 받는 중생들을 구제해 성불의 길로 인도해 주길 발원했다. 33일 동안 참회기도를 통해 약사여래 부처님의 12대 원력이 불자들에게 전해져 소망이 모두 이뤄지길 간절히 발원한 회향법회는 피안의 세상에서 뜨거운 열기로 여름처럼 진하게 여물었다.


 6f3fbf02ee46f9c9cb4be022987a9c14_1688629633_0699.jpg

▲법문/화계사 선덕 견향스님


선덕 견향스님은 지장재일을 맞아 성소작지(중생들의 고통을 없애고 근기 따라 바라는 염원을 성취시켜 즐거움을 주는 일) 다섯 가지의 마음자리로, 보는 마음자리, 듣는 마음자리, 냄새 맡는 마음자리, 맛을 보는 마음자리, 촉각을 느끼는 마음자리를 설하시고 이것을 전오식이라고 한다. 즉 눈으로 봐서 알고, 귀로 들어서 알고, 코로 냄새 맡아서 알고, 맛을 봐서 알고, 촉각을 느껴서 알게 되는 것이 전오식이다. 이 다섯 가지는 사용하고 쓰는데 있어서 지식으로 쓰면 번뇌. 번뇌가 불꽃같이 탁! 일어날 때 번뇌를 이기게 되면 생각으로 그림을 그려 망상을 만들어 낸다. 번뇌와 망상에 의해 우리는 즐거움과 괴로움이 생긴다. 이 다섯 가지를 잘 쓰게 되면 지혜로 만들어 진다. 번뇌로 만들어 지는 것이 아니라 지혜로 만들어 내면 성소작지(지혜)’로 변한다며 오늘은 여섯 번째의 마음자리 전육식을 말씀했다. 생각 식은 생각해서 아는 것이며, 봐서 생각하고, 들어서 생각하고 맛을 보고 생각하고 촉감으로 생각하고, 의식을 생각해내는 것을 여섯 번째 아는 자리 전육식이다. 전육식(여섯 번째 마음자리)을 잘 굴려서 관찰해낸 지혜를 묘관찰지라고 한다. 그러면 번뇌와 망상이 사라진다. 이러한 모든 것이 불자들이 해야 할 덕목이다. , 염불, 다라니, 진언, 모두 기도다. 또한 법문을 듣는 것도 기도다.

 

우리는 보는데 걸리고, 듣는데 걸리고, 냄새 맡는데 걸려버리고, 맛보는데 걸리고, 촉감을 느끼는데 걸려버리면 이것이 번뇌요 망상으로 변해 버린다. 그것을 벗어나려면 옳고 그름의 세계를 넘어서야 하는 것이다

 

선덕 견향스님은 반야심경에 나오는 무......의 눈도 없고, 귀도 없고, 코도, 입도, 몸도 없고, 생각도 없다는 것 이것을 알아야 한다. (), (), (), (), (), ()등 여섯 가지 인식대상이 안이비설신의를 만나면 온갖 번뇌가 일어난다. '색성향미촉'을 오감이라고 하고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의 감각이 안이비설신의라는 감각기관을 만나 세상을 경험하는데 여기에 생각을 의미하는 법()이 오감에 의한 경험을 통해 세상을 분석하고 소통하는 주체가 되니 법신인 내가 존재해야 감각도 느끼고 생각도 하고 죄업을 짓기도 하는 것이니 나의 세상은 내 생각에서 나온 것이라고 법문했다. 스님은 서로 상응하여 어울리고 깨달음의 문으로 함께 가야한다며 법문을 마쳤다.


 6f3fbf02ee46f9c9cb4be022987a9c14_1688629785_6673.jpg

6f3fbf02ee46f9c9cb4be022987a9c14_1688629809_1831.jpg
6f3fbf02ee46f9c9cb4be022987a9c14_1688629843_8499.jpg
▲ 화계사 합창단/음성공양 


6f3fbf02ee46f9c9cb4be022987a9c14_1688629928_0831.jpg
▲ 지장재일 시식의식/ 화계사 지장회


6f3fbf02ee46f9c9cb4be022987a9c14_1688630071_6027.jpg

▲약사기도 회향법회후 약수(감로수)를 받는 불자들


서로 상생하며 아름답게 소통하고 친절하게 대해주면 우리 사회가 따뜻해 질 것이다. 내안에 사는 수많은 사람들이 서로 배려하고 친절하면 내가 평온하다. 보고 듣고 냄새 맡고 맛보고 행동하는 이것도 실체가 없는 것은 마찬가지다. 이 모든 것이 비어 실체가 없음을 생각하면 모든 것에 매이지 않을 수 있다. 매이지 않으면 자유롭고 편안하게 살아갈 수 있지 않을까? 이것은 내가 추구해야할 최고의 기도일 것이다.


 



 화계사/홍보

김지희(정법화)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우) 01095 서울특별시 강북구 화계사길 117(수유1동)|117, Hwagyesa-gil, Gangbuk-gu, Seoul, Republic of Korea
대표전화 : 02-902-2663, 02-903-3361 (업무시간 : 오전8시 ~ 오후6시) Fax : 02-990-1885E-mail : hwagyesa@hanmail.net
업무별 전화번호 : 불교대학 02-997-6469 (업무시간 : 오전 8시 ~ 오후 6시) 템플스테이 010-4024-4326 / 02-900-4326 (업무시간 : 오전 8시 ~ 오후 5시)
불교용품점 02-997-7517 (업무시간 : 오전 8시 ~ 오후 5시)

COPYRIGHT ⓒ HWAGYESA. ALL RIGHTS RESERVED.